Top 5 구성주 의 학습 이론 The 186 Top Answers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구성주 의 학습 이론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logostyle.vn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구성주 의 학습 이론 구성주의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이론, 구성주의 예시, 피아제 구성주의, 구성주의 장점, 구성주의 교육 비판, 피아제 구성주의 이론, 교수학습이론


과학교육론 09주차 2 구성주의 학습 이론
과학교육론 09주차 2 구성주의 학습 이론


57. 구성주의 학습이론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4568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57. 구성주의 학습이론 : 네이버 블로그 구성주의 학습이론? … 1) 지식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와 전통을 통해 구성되는 상황적 산물로 본다. 2) 구성주의에서 학습자들은 상징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57. 구성주의 학습이론 : 네이버 블로그 구성주의 학습이론? … 1) 지식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와 전통을 통해 구성되는 상황적 산물로 본다. 2) 구성주의에서 학습자들은 상징 …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성찰이 함께하는 교직생활

이 블로그 
교수·학습 및 교육 심리학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교수·학습 및 교육 심리학
 카테고리 글

57. 구성주의 학습이론 : 네이버 블로그
57. 구성주의 학습이론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구성주의 학습이란?(정의, 유형)

  • Article author: edumon.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607 ⭐ Ratings
  • Top rated: 3.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구성주의 학습이란?(정의, 유형) 구성주의는 능동적인 학습자가 물리적·사회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해석적·귀납적 구축 과정이라고 봅니다. 강화를 통해 학습된 행동들을 고립시키는 이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구성주의 학습이란?(정의, 유형) 구성주의는 능동적인 학습자가 물리적·사회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해석적·귀납적 구축 과정이라고 봅니다. 강화를 통해 학습된 행동들을 고립시키는 이론 … 알기 쉽고 친절한 입시정보, 교육이슈, 교육이론
  • Table of Contents:
구성주의 학습이란?(정의, 유형)
구성주의 학습이란?(정의, 유형)

Read More

교수학습 –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 Article author: vkdlfl11.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36773 ⭐ Ratings
  • Top rated: 4.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교수학습 –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1) 학습은 주관적인 의미 구성 과정이다 :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을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교수학습 –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1) 학습은 주관적인 의미 구성 과정이다 :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을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 … 파이리11 님의 블로그입니다.
  • Table of Contents:
교수학습 -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교수학습 –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Read More

구성주의 (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28188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구성주의 (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육심리학이나 교수 설계에서 구성주의 (Constructivism)는 인간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구성해낸다는 이론이다. 교육학에서는 피교육자들이 교육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구성주의 (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육심리학이나 교수 설계에서 구성주의 (Constructivism)는 인간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구성해낸다는 이론이다. 교육학에서는 피교육자들이 교육을 …
  • Table of Contents:

인지구조[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구성주의 (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성주의 (교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구성주의 학습 “함께 공부할 때 더 잘할 수 있어” [처음 읽는 교육학]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 Article author: www.edujin.co.kr
  • Reviews from users: 16168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구성주의 학습 “함께 공부할 때 더 잘할 수 있어” [처음 읽는 교육학]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문제해결이나 프로젝트식 수업 등의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방식이 바뀌는 것입니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4차 산업혁명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구성주의 학습 “함께 공부할 때 더 잘할 수 있어” [처음 읽는 교육학]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문제해결이나 프로젝트식 수업 등의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방식이 바뀌는 것입니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4차 산업혁명 ... 틀림이 아닌 다름의 인정청백리이자 명재상으로 잘 알려진 조선 초기의 문신 황희의 이야기입니다. 어느 날 집의 여종이 시끄럽게 싸우며 황희에게 중재를 요청합니다. “아무개가 저와 다투다가 이러이러한 못된 짓을 했습니다. 아무개는 아주 나쁜 사람입니다.” 그러자 황희는 그 여종에게 말했습니다. “네 말이 옳다.” 이에 질세라 다른 여종이 황희에게 다가와서는 다시 말합니다. “아닙니다, 저 사람의 말은 틀렸습니다. 저사람은 이러이러한 못된 짓을 하고 저에게 뒤집어 씌우려하니 아주 나쁜 사람입니다.” 황희는 여종에게 대답합니다. “네 말이
  • Table of Contents:

상단영역

본문영역

하단영역

전체메뉴

구성주의 학습
구성주의 학습 “함께 공부할 때 더 잘할 수 있어” [처음 읽는 교육학] < 학습코칭 < 학습정보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Read More

구성주 의 학습 이론

  • Article author: biewoom.github.io
  • Reviews from users: 31174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구성주 의 학습 이론 3. 구성주의의 학습원리. 4.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5. 구성주의 학습 모형. 6. 구성주의 교수 설계 이론에 대한 시사점. 7.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구성주 의 학습 이론 3. 구성주의의 학습원리. 4.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5. 구성주의 학습 모형. 6. 구성주의 교수 설계 이론에 대한 시사점. 7.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 …
  • Table of Contents:
구성주 의 학습 이론
구성주 의 학습 이론

Read More

교수학습지원센터 > Teaching Tips > 구성주의 학습이론

  • Article author: edu.kbc.ac.kr
  • Reviews from users: 34208 ⭐ Ratings
  • Top rated: 3.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교수학습지원센터 > Teaching Tips > 구성주의 학습이론 구성주의의 기본 가정은 ‘학습은 학습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머릿속에서 구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떠난 객관적인 실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교수학습지원센터 > Teaching Tips > 구성주의 학습이론 구성주의의 기본 가정은 ‘학습은 학습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머릿속에서 구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떠난 객관적인 실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
  • Table of Contents:
교수학습지원센터 > Teaching Tips > 구성주의 학습이론” style=”width:100%”><figcaption>교수학습지원센터 > Teaching Tips > 구성주의 학습이론</figcaption></figure>
<p style=Read More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대표 예시 이론

  • Article author: present1hour.com
  • Reviews from users: 21997 ⭐ Ratings
  • Top rated: 4.2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대표 예시 이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구성주의 학습이론 우리는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을 통해 21세기의 기술 수준이 얼마나 대단한지 느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대표 예시 이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구성주의 학습이론 우리는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을 통해 21세기의 기술 수준이 얼마나 대단한지 느꼈다. 현재 일상의 소소한 팁을 주는 블로그
  • Table of Contents: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대표 예시 이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구성주의 학습이론

매체를 활용하는 앵커드 수업모형

상황 대처 능력과 적응력을 위한 인지적 유연성 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대표 예시 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대표 예시 이론

Read More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학습이론

  • Article author: yuka96.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2568 ⭐ Ratings
  • Top rated: 4.4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학습이론 1. 구성주의 개념 – 전통적 학습이론과는 달리 교사, 학생의 역할, 수업 전 학생의 상태, 학습결정조건, 학습에 대한 관점, 지식형성에 대한 관점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학습이론 1. 구성주의 개념 – 전통적 학습이론과는 달리 교사, 학생의 역할, 수업 전 학생의 상태, 학습결정조건, 학습에 대한 관점, 지식형성에 대한 관점의 … 보고 듣고 해보고 느끼는 것에 대한 주저리주저리…
    누구에게도 간섭받지 않고 내가 하는 이야기….
  • Table of Contents:
See also  Top 14 가공 전선 로 All Answers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학습이론

1 구성주의 개념

2 구성주의 학습이론

3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학습이론
[교육심리학] 구성주의 학습이론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 694 tips update new.

57. 구성주의 학습이론

1. 구성주의 교수·학습관

가. 지식관 : 구성주의

1) 지식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와 전통을 통해 구성되는 상황적 산물로 본다.

2) 구성주의에서 학습자들은 상징의 구성자, 자연의 해석자로 경험을 통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한다.

나. 학습관

1) 학습은 주관적인 의미 구성 과정이다.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을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으로 본다.

2) 인지적 불균형이 학습을 촉진한다.

능동적인 학습자는 맥락(상황)에 적합한 의미를 추구하고자 한다. 그런데 맥락에 적합한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인지적 불균형 상태가 되면 이를 해소하고자 노력한다.

3) 반성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학습자들이 스스로의 지식을 구성해 나가며 인식의 확장을 위한 촉매제로서 반성적 사고는 개인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따져 보게 하므로 학습의 중요한 원천이 된다.

4) 학습은 사회적인 대화 활동이다.

학생간, 학생과 교사간의 대화는 학생의 동료 학습자로 학습을 촉진하며 비계를 설정한다.

5) 학습은 도구와 상징을 통해 촉진된다.

구성주의 학습은 학습자가 맥락을 통한 상호작용속에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므로 이를 도와줄 수 있는 학습의 제반도구와 언어 등 상징을 풍부하게 제공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2. 구성주의의 학습자관과 교사관

가. 학습자관

1) 학습자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존재이다.

구성주의에서 학습자는 맥락에 적합한 의미를 탐색하고 추구하며 인지적 불균형 상태에서 더욱 더 적합한 의미를 추구하고자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존재이다.

2) 따라서 교수·학습의 주체를 학습자에게 두고,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재량을 학습자에게 부여하고자 한다.

나. 교사관 : 조성자, 안내자, 촉매자

1)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자료를 유의미하고 적합하게 잘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2) 교사는 학습환경의 조성자이자 안내자로, 또한 동료 학습자로서 풍부하고 다양한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상황적 맥락에따라 참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의미 구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3. 구성주의 학습의 목표

가. 목표의 자발적 결정 : 학습자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도움

나. 추론, 비판적 사고 등의 학습 유도 : 스스로의 지식 구성을 위한 추론, 비판적 사고,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력, 인지적 유연성 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구성주의의 목표임

다. 실제적 상황 제공 : 추론, 비판적 사고의 배양을 위해 복잡하고 비구조화된 다양한 실제적 상황 제공

라. 질적인 평가 지향 : 실제 과제를 수행하는 학습과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질적평가, 규준지향적 평가를 지향

구성주의 학습이란?(정의, 유형)

신박에듀

안녕하세요 에듀몬입니다. 2015 개정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도입되고,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과 역량을 중심으로 구현되는 구성주의 교육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구성주의 학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구성주의의 정의

구성주의란 개인의 특정한 사회적 경험과 배경을 바탕으로 그 위에 개인적인 인지적 작용을 가하면서, 주어진 사회현상의 이해를 지속적으로 구성해나가고 그 결과로 생성되는 것이 지식이라고 보는 인식론입니다. 구성주의는 지식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된다는 것에서 시작되며, 이해는 객관적인 실체 혹은 절대적 진리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입장에 대해서는 철저히 비판적입니다. 구성주의에 있어서 지식이 구성적이라면 그 지식을 구 성하는 나의 주관의 능동적인 태도가 우선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성주의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학습자 중심이어야 한다.

둘째,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동적이어야 한다.

셋째, 교사는 도와주는 역할만 하여야 한다.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주재한다고 할 때, 그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수행해야 되는 학습활동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수행해야 되는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하는 경우에 전통적 교수·학습 패러다임과는 차별화된 논의가 필요합니다. 구성주의의 학습 매개체는 ‘경험’입니다. 경험에서 비롯된 자아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인 생각이 위의 세 가지 핵심 내용을 이행하는데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에서 구성주의라는 학습이론을 선택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위한 구체적 교수·학습법이 여러 형태로 제공됩니다.

구성주의는 능동적인 학습자가 물리적·사회적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해석적·귀납적 구축 과정이라고 봅니다. 강화를 통해 학습된 행동들을 고립시키는 이론이라기보다는 개념에 대한 이해와 구조가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설명하려는 학습이론입니다.

또한 인간의 지식은 자신의 경험에서부터 구성된다는 이론입니다. 학습자이 학습을 받을 때 그 이전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학습을 받아들이게 되고 지식 습득이 진행되며 객관적인 진실보다는 학습자 스스로에게 큰 의미를 두는 학습이론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아래의 구성주의 과정의 양상과 같이 학습자의 기존 지식과의 관계성에 의해 능동적으로 찾아가는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구성주의 학습이라 일컫는 것입니다.

< 구성주의 과정의 양상 >

• 입문 : 학습의 구체적 상태로의 참여

• 반성 : 문제의 자발적 발견 및 해결

• 메타학습 : 학습에 대한 반성적 실험

• 자기평가 : 학습체험의 엄격성

• 협동학습 : 교육적 관계의 개방적 운영

2. 구성주의 학습의 유형

구성주의 학습에는 학습자의 성향에 따른 다양한 학습법들이 있습니다. 구성주의 이론을 주장하는 대표 학자로서는 Jean Piaget와 Semenovich Vygotsky가 있다.

Piaget는 모든 것을 개인에게 초점을 맞춘 인지적 구성주의를 주장하였고, Vygotsky는 개인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사회활동으로 인해 지식을 습득하며 그로 인해 상호작용을 하며 지식이 축적된다고 하는 사회적 구성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Jean Piaget, Lev Semenovich Vygotsky를 위시한 상호 주의자들의 이론은 구성주의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구성주의에 대한 관심이 확산됨에 따라 최근에는 개인의 인지적 구성 과정을 강조하는 입장과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효과를 강조하는 사이에 논쟁이 일고 있습니다.(Fosnot, 1993; O’Loughlin, 1992; Steffe & Gale, 1995) ‘인지적 구성주의’(cognitive constructivism)와 ‘사회적 구성주의’ (social constructivism)라는 용어는 학습에 대한 분석에서 개인과 문화 중 무엇에 우위를 두는가가 아니고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지식을 구성하는 방법을 연구한 Jean Piaget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지식을 성장시킨다고 하였습니다. 학습자들은 또래 간 상호작용을 통하여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을 발전시킵니다.

< Piaget와 Vygotsky 구성주의 관점 >

Jean Piaget Lev Semenovich Vygotsky 인지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인지구조는 학습자가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환경을 적절하게 다룰 수 있는 보다 정교한 인지구조들을 능동적으로 구성해나간다. 인간의 인지적 발달과 기능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내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본다. 인지적 발달과 기능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발달은 기본적으로 사회, 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두가지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개개인의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개개인의 인지 구조변화를 중시. 사회적 상호작용인 ‘대상, 객관’의 차원이 주체에 수동적, 피동적으로 내면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개인의 인지적 발달과 기능은 사회적 상호작용 (협동학습, 토의, 토론 등) 내면화로 이루어진 것

이처럼 Piaget와 Vygotsky의 이론은 학습자의 주관과 객관의 구도의 차이가 핵심입니다.

1) Piaget의 구성주의 학습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은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인지 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와 학습자는 자신의 흥미를 통해 자신의 속도에 따라 배운다는 사실에 대한 이해는, 개별화된 교육과 학습자 중심의 발견학습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학습자는 설명을 들음으로써 보다는 스스로의 행함과 경험을 통해서 더욱 효과적으로 배운다는 사실에 대한 이해는, 교사의 역할이 지식의 분배자라기보다는 반드시 학습의 촉진 자여야 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합니다. 어떤 영역의 지식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가르칠 수 없고 반드시 학습자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서만 습득되어 짐을 이해한다는 것은, 교사와 부모가 창조적이고 학습자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또한 학습자가 탐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폭넓고 다양한 경험과 자료를 제공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 >

Piaget는 인간의 인지발달 4단계를 거쳐 진행된다고 하였습니다. 각 단계는 대략 연령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며 각각의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제기하는 다양한 질문 혹은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규정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반성적으로 생각함에 따라 새로운 이해와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과정에 있어 발달 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우리의 중등 과정의 청소년의 시기인 형식적 조작기는 11세부터의 시기로 논리적인 추론을 통해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되며, 추상적 사고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환경에서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문제를 해결하는 귀납적 추리와 더불어 주어진 조건들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가설을 만들어내는 연역적 사고가 가능해집니다.

학습자가 학습 자체에 동기부여 할 수 있는 상황이나 마음가짐이 부여된다면 이는 학업 동기와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구성주의 학습법 중 호기심을 자극하여 정답을 찾을 때까지 동기를 유발하여 탐구하게 하는 발견학습이나, 학습 자체에 동기화될 때 효과적인 자기 조절 학습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잠재적 학습능력은 뛰어나지만 현재 학습능력이 뛰어나지 않은 학생들은 비계의 학습법을 적용하면 학업 개선이 이루어지고 후에 실력이 향상되어 표준화 검사에도 좋은 수치로 나타날 것이며, 기초적인 지식이 전혀 없는 집단이나 학습자를 학습할 때는 상보적 교수법과 상향식 학습법, 하향식 학습법 처리 방법을 제시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협동학습은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공간적으로 근접하게 모여서 학습할 내용을 서로 토론하여 계획하고, 학습할 내용을 서로 분담하여 구성원 각자 가 부여된 몫을 다함으로써 학습자 개개인뿐만 아니라, 학습 구성원 모두가 주어진 학습 목표를 성취하도록 하는 수업방법입니다. 협동학습의 4가지 기본 원리는 교사가 학습의 과정을 설계할 때 긍정적 상호의존성(Positive Interdependence), 동시다발적 상호작용(Simultaneous Interaction), 개인적인 책임 , 동등한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의 과정을 설계하여 만든다는 것입니다.

< 협동학습의 모형 >

구분 내용 과제중심의

협동학습 모형 Jigsaw 모형 개별로 서로 다른 문제지를 학습하고 전문가 모둠에서 토의한 뒤 원래 모둠에 가서 설명하는 형태 집단 탐구 모형(GI) 교수자가 학습 주제 설명하고 소주제를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관심있는 부분을 선택해 같은 선택자들끼리 모둠 구성해 과제 수행하는 형태 협동을 위한 협동학습 (Co-op Co-op) 프로젝트 수업 + 과제분담 학습 결합, 대주제 중심으로 모둠별로 소주제 선택, 개인 별로 하위 소주제 선택해 학습 교과 중심 협동학습 모형 모둠 보조 개별학습(TAI): 개별학습과 모둠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형태, 이질적 집단을 구성하며 학습자는 스스로 학습하고 필요할 경우 도움을 받음, 교수자는 같은 수준 학습 자들을 모아 직접 가르치고 다른 모둠원들은 학습을 이어감 보상 중심 협동학습 모형 모둠 성취 분담 (STAD) 개별 학습자 향상 점수를 모둠 점수로 환산해 보상. 모둠 게임 토너먼트 (TGT) TGT(Teams-Games-Tournament) 모형 수준별 토너먼트 게임으로 보상 (수준별 퀴즈, 모둠 점수로 합산)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능력과 성향을 파악하여 어떤 학습집단에 배정할 것인지와 어떠한 구성주의적인 학습법을 적용할 것인지가 학습자의 실력을 향상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2) Vygotsky의 구성주의 학습

현대의 구성주의 학자들의 생각은 주로 Vygotsky의 이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Vygotsky의 구성주의 핵심 원리 이론 >

구분 내용 사회적 학습 학습자가 자신과 또래의 혹은 자신보다 나은 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학습 함. 성공적인 문제 해결을 하고 있는 동료가 어떻게 그 문제에 접근하고 생각하는지 배울 수 있다.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학습자 혼자 할 수 없으나 교사나 선행 학습자와 함께 할 때 조금 더 나은 수준의 인지 능력을 갖게 되고 함께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상보적 교수법의 이론적 근거가 됨) 인지적 도제 전문가는 경험이 적은 신참들에게 시범을 보이고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전문가의 규범과 행동들로 점차 사회화되어 가게 된다. 매개학습 언젠가는 사용될 것을 기대하고 학습하기보다는 실질적인 해결에 필요한 학습을 해야 한다.

위의 <표>는 Vygotsky의 핵심이론을 정리하여 놓은 것입니다. 구성주의 학습의 기본은 동료 학습자와 대화를 통해 의견을 소통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견이나 지식을 나누고 학습을 공동으로 만들어나가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Vygotsky는 Piaget보다 인지발달의 중요함을 주장하였고, 그중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추리를 위한 인지활동이 중요한 발달적 기능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자신의 신체나 주변의 물건, 놀잇감을 가지고 놀면서 탐색의 기회를 갖게 되고 이를 통해 지적발달이 이루어집니다. 성장함에 따라 또래 집단과 함께 다양한 놀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면서 인지발달이 더욱 촉진됩니다. 즉, 여러 가지 놀잇감, 사물, 자연물을 가지고 놀면서 색깔, 크기, 무게, 모양 등의 물리적 지식을 습득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논리적, 수학적 지식도 습득합니다. 이런 고차원적인 학습이 가능케 해주는 구성주의 학습을 교육현장에 적용해 가며 수업방식을 개선해 가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현재의 교육방법 중 학습자의 성장을 위한 구성주의 학습법은 고차원적 학습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교육연극에 나타난 구성주의 학습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최영우, 2020)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파이리11

교수학습 34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1. 구성주의의 교수-학습관

(1) 지식관: 주관주의

1) 구성주의는 지식을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와 전통을 통해 구성되는 상황적 산물로 본다.

2) 구성주의는 주관주의적 인식론에 근거하여 학습자들이 경험을 통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2) 학습관

1) 학습은 주관적인 의미 구성 과정이다 :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을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으로 본다.

2) 인지적 불균형이 학습을 촉진한다 : 능동적인 성격의 학습자는 맥락(상황)에 적합한 의미를 추구하고자 한다. 그런데 맥락에 적합한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인지적 불균형 상태가 되면 이를 해소하고자 노력하게 되므로 학습이 촉진된다.

3) 반성적 사고가 학습의 원동력이다 : 반성적 사고는 개인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따져 보게 하므로 학습의 중요한 원천이 된다.

4) 학습은 사회적, 대화적 활동이다. : 공동체 구성원들과의 대화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생각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므로 학습을 자극하게 된다.

5) 학습은 도구와 상징을 통해 촉진된다. : 학습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므로, 이를 도와줄 수 있는 도구와 상징을 풍부하게 제공하면 학습이 촉진된다.

(3) 학습자관

1) 구성주의는 학습자를 맥락에 적합한 의미를 탐색하고 추구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 본다.

2) 따라서 교수-학습의 중심을 구성의 주체인 학습자에게 두고,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재량을 학습자에게 부여하고자 한다.

(4) 교사관

1)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자료를 유의미하고 적합하게 잘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2) 교사는 학습환경의 조성자이자 안내자로, 또한 동료 학습자로서 풍부하고 다양한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상황적 맥락에 따라 참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의미 구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5) 구성주의의 목표

1) 목표의 자발적 결정 : 학습목표는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

2) 추론, 비판적 사고 등의 학습 유도 : 학습자들이 스스로의 지식을 구성해 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추론, 비판적 사고,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인지적 유연성 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구성주의의 주요 목표이다.

3) 실제적 상황 제공 : 이를 위해 복잡하고 비구조화된 다양한 상황을 제공하고,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사회적 협상과 협력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4) 질적인 평가 지향 : 평가 역시 사전에 설정된 목표에 근거한 준거지향 평가보다는 수행평가와 같이 실제 과제를 수행하는 학습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질적인 평가를 지향한다.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의 비교>

인식론 비교대상 객관주의 구성주의 실재(지식) 인식주체와 독립되어 외부에 존재 마음의 산물로 인식주체에 의해 결정 의식 상징의 처리자, 자연의 거울 상징의 구성자, 자연의 해석자 사고 외부 실재를 반영, 외부 실재에 의해 통제 지각과 구성에 근거하며 신체적, 사회적 경험을 통해 성장 의미 인식주체와 독립 인식주체에 의해 결정 상징 실재를 표상, 외부 실재의 내적 표상 실재를 구성하는 도구, 내부 실재의 표상 최종목표 보편타당한 절대적 진리와 지식 추구 맥락에 적합한 의미 구성 대표유형 행동주의 인지주의 개인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 외현적 행동의 변화 인지구조의 변화 개인의 주관적 경험에 근거한 의미 구성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구성 학습자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수동적 학습자관 내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능동적 학습자관 환경과 상호작용 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능동적 학습자관 교육과정 교과서 중심의 기본 기능 강조 다양한 자료에 근거한 구성 활동 강조 교수 지식과 정보의 전달 지식과 정보의 전달 또는 발견 개인적 이해를 위한 사고 안내 지식의 공동 구성

인식론 비교대상 객관주의 구성주의 교사의 역할 관리자, 감독자 정보처리 활성자 촉진자, 안내자 촉진자, 안내자, 공동 참여자 학습자의역할 정보의 수동적 수용자, 청취자, 추종자 정보의 능동적 처리자 의미의 능동적 구성자, 산출자, 설명자, 해석자 의미의 능동적 공동 구성자, 산출자, 설명자, 해석자 핵심 개념 자극, 반응, 강화 정보처리, 정교화 개인의 구성적 과정 사회, 문화적 동화 주요 수업전략 연습과 피드백 정보처리 전략 유의미한 아이디어와 자료 등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기회 제공 유의미한 아이디어와 자료 등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기회를 학습자와 공동으로 구성 주요 매체 다양한 전통적 매체와 CAI 컴퓨터에 기초한 수업 인터넷, 마이크로월드, 구성도구 평가 양적 평가, 총괄평가 강조 질적평가, 형성평가 강조 주요 이론가 Skinner, Thorndike Bruner, Ausubel Piaget, von Glasersfeld Vygotsky, Rogoff

2. 구성주의의 학습원칙

구성주의 교수-학습 모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학습원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성주의적 학습원칙 세부적 내용 1. 체험학습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 내용전개 및 평가에 참여하도록 한다. ◦학습자가 지식을 구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학습자가 전체적으로 학습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자발적 학습을 조장한다. 2. 자기성찰적 학습 ◦메타인지(학습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를 습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학습자의 기존 지식과 개념을 활용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주어진 과제해결을 위해 깊이 있는 사고와 탐색이 필요로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3. 협동학습 ◦학습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개념과 내용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과 시각이 자유스럽게 제시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들간의 토론/대화/상호작용을 통해 성찰적 학습기회를 촉진한다. 4.실제적(authentic)성격의 과제제시 ◦통합교과목적인 성격의 과제를 다룬다. ◦특정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과제여야 한다.(situated learning) ◦실제적(authentic)평가이어야 한다.: 과제성격 및 해결안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 방법이어야 한다. 5.교사로서의 역할 : 촉진자, 동료학습자 ◦인지적 도제학습환경을 제공한다. ◦과정중심적 평가여야 한다. ◦실수/오답에 대하여 관대하고 인내가 필요하다. ◦학습지도는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3. 구성주의 교수이론

(1) 인지적 도제교수법

1) 개요

① 인지적 도제교수법은 사회․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지식이 구성되고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는 비고츠키(Vygotsky)의 이론에 근거한다.

② 도제 제도는 초보자가 실제 장면에서 전문가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이를 모방하여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식과 기능을 연마하는 것을 익히도록 되어 있다.

③ 이 교수법은 실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도제교육의 장점을 최대한 수용하되, 이를 창의적․반성적 사고와 문제해결 등과 같은 고등정신 기능을 학습하는데 적합하도록 재구성한 교수-학습방법이다.

2) 교수법의 전개

① 모델링(modeling): 전문가인 교사가 시범을 보이면 학습자는 전문가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한다.

② 코칭(coaching):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면 교사는 학습자에게 코멘트를 해주고, 잃어 버렸던 것, 잘못된 것 등을 일깨워주고, 격려해주고, 환류를 시켜준다.

③ 비계설정(scaffolding): 교사는 학습자와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며 학습에 도움을 주는 디딤돌 역할을 한다. 학습자가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한 구체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학습자가 익숙해지면 이를 감소시켜 나간다.

④ 명료화(articulation): 학습자가 자신이 구성한 지식과 수행 기능을 시범을 보이거나 설명하도록 하여, 자신이 습득한 지식, 기능, 이해, 사고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하도록 한다.

⑤ 반성적 사고(reflection): 학습자는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문제해결과정을 전문가인 교사가 하는 것과 비교하여, 반성적으로 검토한다.

⑥ 탐구(exploration): 학습자는 자신의 지식과 기능, 태도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방략을 탐색한다.

(2) 상황학습

1) 이론의 개요

① 상황학습이란 실생활의 유용성을 반영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② 이는 인지적 도제 교수법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학생들이 실제적 성격의 과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개인적 견해와 사고의 틀을 가지도록 하려는 교수법으로 학생 주도의 문제형성-해결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예컨대, 수학 기능 학습의 경우, 은행일이나 쇼핑 상황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2) 상황학습의 장점

① 다양한 상황에서의 지식 활용법: 쇼핑이나 은행일 보기와 같은 산술기능의 대표적 맥락 속에서 산술 기능을 학습할 경우 이를 비행기표 사기나 회계업무 보기와 같은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② 발명의 촉진: 실제 문제나 상황과 관련된 지식을 다룸으로써 이러한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유연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③ 지식의 함의 파악: 맥락이 가미된 학습이 이루어질 경우, 학생들은 지식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④ 지식의 구조화: 맥락이 배제된 단편적인 지식의 학습은 지식을 기계적으로 암기하는데 그치지만, 맥락 속에서 지식을 익힐 경우 지식을 활용하기에 적합하게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1) 의미

: 문제중심학습이란 학생들이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나름대로의 인지적 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학습법이다.

2) 특징

① 구조: 문제중심학습은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② 학습자 주도의 학습: 과제가 주어지면 팀으로 나누어 각 팀에서 그 과제를 통해 자신들이 학습하게 될 ‘학습목표’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학습자 자신들이 주어진 과제를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것을 스스로 결정하게 함으로써 학습자 주도적 학습을 실현한다.

③ 안내자로서의 교사: 교사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학습해 갈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익히도록 자기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적극 권장하고 지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3) 목표

: 문제중심학습의 목표는 ① 문제해결능력 ② 관련분야의 지식과 기능의 습득 ③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제시, 설명, 옹호, 반박할 수 있는 능력의 습득 ④ 협동학습능력 등이다.

4) 교사의 역할

① 복잡하고, 비구조적이며, 특정 상황에 기반하고 있는 문제를 만들어 제시한다.

②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한 다음에는 학생들로 하여금 팀을 구성하도록 한다.

③ 미리 주어진 과제 해결에 도움이 될만한 학습자료들을 수집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④ 다양한 학습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도한다.

⑤ 개별학습시간 뿐만 아니라 팀학습 과정 중에서도 자기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하고 지도한다.

⑥ 학습자들에게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구성주 의 학습 이론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구성주의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이론, 구성주의 예시, 피아제 구성주의, 구성주의 장점, 구성주의 교육 비판, 피아제 구성주의 이론, 교수학습이론

Leave a Comment